프로그램 소개

작업장 소음관리

개설자 양홍석
시간 13:30-17:20
장소 304호
수강료
  • 학술대회 등록자 (학술대회 등록비를 납부하고 학술대회에 참가하는 자) 70,000원
  • 학술대회 미등록자 (학술대회 등록비를 납부하지 않고 PDC만 수강하는 자) 90,000원
수강인원 최소: 20명 / 최대: 60명
※ 신청 인원이 최소 인원 미만인 경우에도 강의 개설을 취소함
강사진 양홍석
강의개요 1.소음 개론(13:30~14:20)
2.청력보존프로그램 내용과 실제적인 운영방법(14:30~15:20)
3.작업장 적용이 가능한 실제적인 소음관리 방안(15:30~17:30)

*교재지급(저자교재)
수강대상자(신청대상자) 작업장 소음관리에 관심이 있는 사람
수강자 사전지식 불필요
수강 후 수강자가 얻는 지식 1.소음의 원리와 소음의 노출형태를 이해
2.다양한 작업장의 소음 환경을 컨트롤하는 방법
3.실제적인 청력보존프로그램 운영방법
내용요약

작업환경측정 정도관리 분석 기초

개설자 노지원
시간 13:30-17:20
장소 302호
수강료
  • 학술대회 등록자 (학술대회 등록비를 납부하고 학술대회에 참가하는 자) 0원
  • 학술대회 미등록자 수강불가
수강인원 최소: 20명 / 최대: 75명
※ 신청 인원이 최소 인원 미만인 경우에도 강의 개설을 취소함
강사진 이병규, 노지원, 황은송, 천태영
강의개요 작업환경측정 정도관리 사업, 정도관리 시료의 분석 방법 및 데이터 처리, 복합유기용제의 효율적인 분석 방법에 대한 이론 강의로서, 신규 분석자가 시료 분석 시 알아야 할 내용을 전달하여 분석 실무 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수강대상자(신청대상자) 작업환경측정기관 분석 경력 5년 미만 분석자
수강자 사전지식 필요(산업위생분석 기초 지식)
수강 후 수강자가 얻는 지식 정도관리 사업에 대한 이해, 시료 분석 데이터 처리 방법 등
내용요약

바이오에어로졸 노출평가 방법 및 관리방안

개설자 황성호
시간 13:30-17:20
장소 305호
수강료
  • 학술대회 등록자 (학술대회 등록비를 납부하고 학술대회에 참가하는 자) 0원
  • 학술대회 미등록자 수강불가
수강인원 최소: 20명 / 최대: 60명
※ 신청 인원이 최소 인원 미만인 경우에도 강의 개설을 취소함
강사진 황성호, 양진호, 김선주, 함승헌
강의개요 Part 1. 바이오에어로졸에 대한 정의와 시료채취 및 분석방법을 포함한 노출평가방법과 관련연구사례 소개
Part 2. 바이오에어로졸 유래 나노물질(세포외소포) 소개
Part 3. 가습기살균제 노출평가 및 방역사례 소개
Part 4. 바이오에어로졸 관리방안
수강대상자(신청대상자)
수강자 사전지식 필요
산업보건 및 환경보건 전공자
수강 후 수강자가 얻는 지식 바이오에어로졸 노출평가방법과 관련연구 내용 습득
바이오에어로졸 유래 나노물질(세포외소포) 내용 습득
가습기살균제 노출평가 및 방역사례 내용 습득
바이오에어로졸 관리방안 내용 습득
내용요약

디지털헬스케어와 산업보건관리

개설자 황정호
시간 13:30-17:20
장소 202호
수강료
  • 학술대회 등록자 (학술대회 등록비를 납부하고 학술대회에 참가하는 자) 0원
  • 학술대회 미등록자 수강불가
수강인원 최소: 20명 / 최대: 95명
※ 신청 인원이 최소 인원 미만인 경우에도 강의 개설을 취소함
강사진 박지환, 양채윤, 박해원, 김춘상
강의개요 1. 디지털 헬스케어 입문 _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이란? (45’)
2.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이해와 전망 (45’)
3. 디지털 헬스케어를 활용한 산업보건관리 1 – 건강진단 사후관리 (45’)
4. 디지털 헬스케어를 활용한 산업보건관리 2 – 작업환경 및 안전관리 (45’)
수강대상자(신청대상자) 산업보건전문가, 기업체 보건관리자, 학생 등 대상의 제약이 없음
수강자 사전지식 불필요
수강 후 수강자가 얻는 지식 스마트사업보건관리가 대두되는 이 시점에서 디지털 헬스케어의 용어, 원리 등 입문 과정의 교육을 통해 디지털 산업보건관리 분야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 위하여 교육 과정을 편성함
내용요약

AI를 활용한 산업보건 PPT 제작

개설자 하권철
시간 13:30-17:20
장소 306호
수강료
  • 학술대회 등록자 (학술대회 등록비를 납부하고 학술대회에 참가하는 자) 0원
  • 학술대회 미등록자 수강불가
수강인원 최소: 20명 / 최대: 60명
※ 신청 인원이 최소 인원 미만인 경우에도 강의 개설을 취소함
강사진 하권철
강의개요 - 산업보건 분야에 필요한 PPT 강의자료 제작을 위한 다양한 AI(Microsoft Designer, Suno AI, Kling AI 등)를 소개하고 산업보건 자료 생성 시 활용하는 방법을 알 수 있음.
- ChatGPT를 활용한 산업보건 관련 ppt(개요, 발표 스크립트, 시각자료, 이미지 생성 등) 제작 실습
- AI로 PPT 강의자료에 필요한 이미지/오디오/비디오 만드는 방법 실습
- PPT 강의자료 제작을 위해 필요한 AI를 컴퓨터 실습을 통해 익힐 수 있음.
- AI와 관련하여 꼭 알아두어야 할 트렌드, 새로운 기술 그리고 미래 전망
수강대상자(신청대상자) PPT를 만들어서 활용할 수 있는 강의자
수강자 사전지식 사전 준비물(개인 노트북 지참 필수 - 최신 버전의 PPT, 윈도우 운영체제 11)
수강 후 수강자가 얻는 지식 - 산업보건 자료를 제작할 때 다양한 AI(Microsoft Designer, Suno AI, Kling AI 등)를 알 수 있으며
- AI를 통한 산업보건 관련 자료를 만들 때 필요한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만드는 방법을 알 수 있고
- 다양한 AI 소개 자료 및 매뉴얼 제공
내용요약

청력정도관리와 청력보존프로그램

개설자 김규상
시간 13:30-15:20
장소 301호
수강료
  • 학술대회 등록자 (학술대회 등록비를 납부하고 학술대회에 참가하는 자) 0원
  • 학술대회 미등록자 수강불가
수강인원 최소: 20명 / 최대: 85명
※ 신청 인원이 최소 인원 미만인 경우에도 강의 개설을 취소함
강사진 김규상
강의개요 1. 소음성 난청의 현황과 추이, 그리고 증가 배경을 살펴본다.
2. 최근 연구를 통한 소음성 난청의 기전과 건강영향을 살펴본다.
3. 난청의 청각학적 검사, 평가 및 청력정도관리에서 주의하여야 할 사항을 검토한다.
4. 청력보존프로그램 구성 내용 중 소음측정, 청력보호구 착용, 그리고 건설업 종사자의 소음 평가 및 청력평가의 문제를 검토한다.
5. 청력에 영향을 미치는 소음과 연령, 그리고 기타 직업적 요인의 복합 노출을 고찰한다.
수강대상자(신청대상자)
수강자 사전지식 불필요
수강 후 수강자가 얻는 지식 소음성 난청에 대한 포괄적인 최근 지식을 습득하고, 소음의 직업적 노출에 대한 측정, 평가 및 의학적 관리를 위한 제반 정책적 함의를 고찰하여 그 의의를 정확히 이해한다.
내용요약

산업환기 - 전체환기

개설자 안진수
시간 15:30-17:20
장소 301호
수강료
  • 학술대회 등록자 (학술대회 등록비를 납부하고 학술대회에 참가하는 자) 0원
  • 학술대회 미등록자 수강불가
수강인원 최소: 20명 / 최대: 85명
※ 신청 인원이 최소 인원 미만인 경우에도 강의 개설을 취소함
강사진 안진수
강의개요 산업환기의 전체환기에 대한 기본적 이론과 실무문제 해결을 위한 강의
기초부터 쉽게 설명하므로 누구나 들을 수 있으며 전체환기와 관련된 모든 공식과 내용을 정리
1. 환기의 개요
2. 환기의 기본 물리단위
3. 노출기준 이하로 유지하기 위한 환기량, 공정의 증가나 갑자기 노출된 경우 환기량의 계산
수강대상자(신청대상자) 관련전문기관 및 보건업무 담당자
수강자 사전지식 계산기 지참 필수
수강 후 수강자가 얻는 지식 전체환기의 기본지식을 이해할 수 있다.
전체환기의 필요유량을 계산 할 수 있다.
내용요약

[학회기획]RT1

주제 산업보건 AI 및 스마트 기술 적용 사례
개설자 주민희
시간 및 장소 2025년 2월 20일(목) 13:30-15:00 / 301호
강의내용 최근 산업현장에서 인공지능(AI), 빅데이터(Big Data), 사물인터넷(IoT), 로봇기술 등 4차 산업 기술을 활용한 사례가 증가하고 있음.
산업보건 분야에서도 근로자의 작업환경 개선과 건강 증진을 위해 다양한 업종에서 개발 및 솔루션을 적용하여 활용한 사례를 발표하고 논의하고자 함.
발표 오프닝 : 이경호 보건기획담당(포스코)
좌장 : 김치년 교수(한국산업보건학회 고문)
1. 산업보건 로봇 및 스마트 기술(황석균 포스코홀딩스 미래기술연구원 리더)
2. 소음 저감 기술 및 스마트 보호구 기술(유기성 RIST 스마트연구그룹 그룹장)
3. 스마트 기술과 보건관리: 혁신적 도약과 미래 비전(백은미 대한건설보건학회 회장)
4. 산업용 웨어러블 로봇 개발 및 사업화(X-ble Shoulder 사례기반)(김종우 현대자동차 로보틱스랩 로보틱스사업1팀 팀장)
* 질의응답 및 토론(30분)

RT2

주제 직업병 안심센터 현장 조사 사례와 직업성 중독의 이해
개설자 황정호
시간 및 장소 2025년 2월 20일(목) 13:30-15:00 / 202호
강의내용 고용노동부의 직접 위탁사업으로 시행중인 ‘직업병안심센터’는 직업병감시체계 구축을 위하여 직업성 질병 의심사례가 있을 경우 안전보건공단과 연계하여 신속한 ‘현장조사’ 제도를 운용하고 있음.
최근 3년간 안전보건공단과 협력하여 시행하는 현장조사 결과 의미있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고, 일부 사례에서 그 조사 결과 작업환경측정이나 특수건강진단 제도 등 산업보건제도 및 정책의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일부 나타나고 있다고 판단됨.
아울러 최근 노출사례는 급성 및 만성 중독에 대한 구분에 대한 논란도 발생하는 등 산업보건전문가들이 노출 사례에 따라 현장 유해인자를 심도있게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됨
따라서 직업병안심센터에서 수행한 일부 현장조사 사례를 바탕으로 그 결과를 공유하고 노출에 대한 의미를 생각해보면서 개선방안 모색을 통해 직업병안심센터의 역할을 고민하고자 함
발표 1. 병,의원 근로자 산화에틸렌(EO가스) 노출 실태 현장조사 결과(안전보건공단 서울광역본부 최중호 센터장)
2. 금속업종 혈중 납 노출 의심 사례 현장 조사 결과(충북대병원 대전충청직업병안심센터 최선행 교수)
3. 실내 사격장 납노출 사례를 통한 특수검진 사전조사의 역할 및 방향(한국의학연구소(KMI) 직업환경의학센터 김경연 센터장)
4. 유해인자 노출 사례를 통한 급성 및 만성 중독의 이해(고신대병원 부산울산직업병안심센터 김정원 교수)
* 토의 : 안전보건공단(산업보건실 실장 또는 부장), 고용노동부 산업보건기준과(과장 또는 사무관) 등

RT3

주제 이차전지 산업에서의 산업보건
개설자 장미연
시간 및 장소 2025년 2월 20일(목) 13:30-17:00 / 203호
강의내용 전 세계적으로 이차전지 시장은 급성장하고 있으나, 산업의 성장 속도와 달리 노동자의 유해인자 노출에 대한 자료는 미흡한 실정이다.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는 3년에 걸쳐 이차전지 산업의 공정 및 화학물질을 파악하고 작업환경 및 노동자 건강영향에 대한 정밀평가를 진행 후 각 사업장과 작업환경관리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번 RT에서 (1) 이차전지 산업 구조 및 공정 (2) 작업환경 및 노동자 건강영향 평가 (3) 사업장의 화학물질 관리 현황 (4) 이차전지 산업과 노동자의 건강 등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토의하고자 한다.
발표 1. 이차전지 산업구조 및 작업환경 정밀 평가(장미연)
2. 이차전지 산업에서의 화학화상(고동희, 가톨릭관동대학교국제성모병원)
3. 산업별 생물학적 노출평가 (원용림)
4. 산업별 노동자 건강영향평가 (이화연)
5. 주요 소재 사업장의 작업환경관리 현황(정동길, 포스코퓨처엠)
* 좌 장 : 박동욱 교수(한국방송통신대학교)
* 발표자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포스코퓨처엠, 가톨릭관동대학교국제성모병원

RT4

주제 작업환경측정 표준품셈, (산업통상자원부) 표준품셈 공표(25.01.03)
개설자 조명화
시간 및 장소 2025년 2월 20일(목) 15:30 – 17:00/ 302호
강의내용 2024년 4.19일부터 시작한「작업환경측정 표준품셈」제정연구에 대한 결과를 발표 공유하고자 합니다.
<연구 배경> 작업환경측정에 대한 적정대가 기준의 부재로 인해 기술력의 경쟁보다 저가발주 관행으로 관련업계는 성과품질 저하 및 우수인력 유입의 어려움을 겪고 있음에 공인 엔지니어링에 대한 대가를 필요로 함.
<연구목적> 공정한 엔지니어링사업 대가 지급 환경 조성을 위해 실비정액 가산방식의 기반인 정부 공인 엔지니어링 표준품셈 마련하여 적정대가 지급으로 측정기관은 기술자 확보 및 기술개발 등 산업 경쟁력 확보가 가능하며, 다양한 유해인자로부터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함에 있음.
이에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엔지니어링 표준품셈 관리센터와 작업환경측정기관협의회의 1년간 공동 연구한 결과가 2025년 1월 3일 산자부에서 공표되어 그 결과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발표 사회자: 조명화
1. 작업환경측정 표준품셈 추진 배경(작업환경측정기관협의회 이동학 회장)
2. 작업환경측정 표준품셈 연구결과(한국엔지니어링산업연구원 원가분석실 진동환 선임연구원)
* 토론자 : 이동학 대표(작업환경측정기관협의회 회장), 송영신 대표 (충청산업보건연구원), 이규동 대표(중앙안전보건연구원) 등

RT5

주제 급성중독사고 발생 사업장에 대한 작업환경 기술적 평가 사례
개설자 김욱
시간 및 장소 2025년 2월 20일(목) 15:30 – 17:00/ 303호
강의내용 화학물질 급성중독사고는 산업보건 분야의 핵심관심사항이다. 하지만 연구개발, 시제품 테스트, 외주제작, 단기공사 등 첨단산업의 이면에서는 취급하는 화학물질로 인해 근로자 생명과 건강이 위협받는 상황은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안전보건공단에서는 산재사망사고를 중심으로 기술적 원인규명을 위한 조사를 작업공정, 작업장 환경 등에 대해서 실시하며 특히 급성중독사고의 경우 사고 발생 관련 설비와 작업환경에 대해 법적 기준 부합여부에 대해 기술적인 평가를 실시한다.
이번 라운드 테이블에서는 유해한 작업환경 평가 경험을 산업보건 전문가와 공유하고 사업장에서 올바른 작업환경을 구현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발표 진행: 김욱 실장
1. 급성중독 정의에 대한 고찰(함승헌 교수)
2. 유기용제 집단중독사고 작업장 국소배기장치 평가 사례(강도욱 차장)
3. 유기용제 중독 사망사고 물질안전보건자료 확인 사례(우연준 차장)
4. 의료기기 멸균작업장 환기실태 평가 사례(배순덕 차장)
5. 온열질환 사망사고 환경 측정 및 평가 사례(김양곤 차장)

RT6

주제 직업트라우마센터와 심리적 외상 예방
개설자 공유정옥
시간 및 장소 2025년 2월 20일(목) 15:30 – 17:00/ 304호
강의내용 사고성 재해 및 동료의 자살이나 직장 내 괴롭힘 등은 노동자에게 심리적 외상(트라우마)을 초래할 수 있다. 산업보건인들은 재해 등이 발생했을 때 심리적 외상의 위험을 관리해야 하 는 위치에 있는 동시에 본인 자신도 재해 시 구조 등 사후 대처 활동에서 심리적 외상의 위 험에 노출될 수 있는 처지에 있다. 이러한 위험을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예방하고자 직업트 라우마센터가 만들어졌으나 산업보건 분야에서는 직업트라우마센터의 활동을 구체적으로 소 개할 계기가 별로 없었다. 이에 이번 라운드테이블을 통하여 산업보건인들에게 직업트라우마 센터가 재해 규모 및 성격에 따라 어떻게 대응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소개함으로써 직업트라우 마센터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용적인 정보와 지식을 공유하고자 한다.
발표 좌장: 박종태(고려대학교, 경기서부근로자건강센터장)
1. 심리적 외상 예방과 직업트라우마센터
2. 트라우마센터의 활동(1) 대규모 재해 및 참사 대응의 경우(경기서부직업트라우마센터 이은규)
3. 사업장 보건관리자의 경험담(중대재해 및 트라우마센터의 개입 유경험 사업장)
4. 트라우마센터의 활동(2) 개인 및 개별 사업장 대응의 경우(경기동부직업트라우마센터 김창숙)
* 질의응답 및 토론 (10분)

RT7

주제 소방관의 소음노출과 청력건강 보호방안
개설자 권지운
시간 및 장소 2025년 2월 20일(목) 15:30 – 17:00/ 305호
강의내용 소방관은 업무수행 시 사이렌, 차량 엔진과 펌프, 구조용 동력공구 등 다양한 소음원에서 발생하는 높은 소음에 노출된다. 소음노출은 소방관에게 청력 손실을 일으켜 직업성 난청 발생을 발생시키는 원인이다. 높은 소음노출과 그로 인한 청력손실은 소방관의 업무수행 능력을 저하하고, 허혈성 심장질환, 스트레스, 치매, 우울증, 사회적 고립 등 다양한 질병과 삶의 질 저하와 관련이 있다. 이 세션은 2024년에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과 소방청 국립소방연구원이 협업연구를 통해 도출한 우리나라 소방관의 소음 노출과 청력 손실 실태에 관한 평가 결과를 청중과 공유하고, 향후 소방관의 청력건강 보호를 위한 방안을 함께 논의한다.
발표 1. 소방관의 소음노출 평가 결과(산업안전보건연구원 김성호 연구위원 )
2. 소방관의 청력손실 평가 결과(국립소방연구원 권지운 연구관)
3. 소방관의 청력건강 보호방안 - 토론 (전원)

RT8

주제 조선업의 이해와 역학조사 사례
개설자 김은영/이성숙/최성원
시간 및 장소 2025년 2월 20일(목) 15:30 – 17:00/ 306호
강의내용 국내 조선업은 다양한 작업 환경 및 직무가 동시에 진행되는 산업으로, 노출 가능한 유해인자의 종류 및 노출 수준은 환경 및 직무에 따라 달라짐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업 퇴직 근로자의 산업재해 신청이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꾸준히 산업재해 신청이 되고 있음.
따라서 조선업에 대한 이해를 하고, 산업재해 신청에 따른 역학조사 사례를 소개하여 조선업에서 발생하는 질병과 연관된 유해인자에 대해 공유하고 함.
발표 좌장: 정지연(한국산업보건학회 회장)
1. 국내 조선업의 이해
- 국내 조선업 선박 건조 공정(한화오션)
2. 국내 조선업에서 발생한 역학조사 사례 및 유해인자
- 조선업 대상 직업환경연구원 역학조사 현황(이성숙)
- 조선업 관련 대상 유해인자 특성 및 노출평가Ⅰ(김은영)
- 조선업 관련 대상 유해인자 특성 및 노출평가Ⅱ(최성원)
- 조선업 근로자들의 만성폐쇄성폐질환과 관련된 직무노출 특성(이성숙)

RT9

주제 2차전지 산업의 유해인자와 개인보호구
개설자 이상영
시간 및 장소 2025년 2월 20일(목) 15:30 – 17:00/ 301호
강의내용 최근 성장하고 있는 2차전지 산업에서 발생하는 유해인자를 알아보고 근로자 보호를 위해 적합한 개인보호구를 알아보고자 함.
또한 올바른 호흡보호구 착용을 확인할 수 있는 호흡보호구 밀착도 검사의 중요성을 국제 기준을 통해 알아보고자 함.
그리고 호흡보호구의 종류별 보호계수와 보호도를 확인하고 보호도가 높은 전동식 호흡보호구에 대해 알아보고 2차전지 산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동식 호흡보호구의 실제 사례를 알아보고자 함.
발표 1. 2차전지 산업에서의 유해인자와 개인보호구(김성호 수석연구원)
2. 국제 기준 밀착도 검사 및 나라별 법규/ 호흡보호구 밀착의 중요성(전묘빈 책임연구원)
3. 호흡보호구의 보호계수와 보호도/ 전동식 호흡보호구의 이해와 실제 사례(김두화 선임연구원)

RT10

주제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의 직업성질환 역학조사 현황 및 사례
개설자 서회경
시간 및 장소 2025년 2월 20일(목) 15:30 – 17:00/ 202호
강의내용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은 최첨단 기술이 집약된 대표적인 산업으로, 작업공정에서 나타나는 위험요인의 영향이 늘 이슈화되어 왔음.
하지만 다른 산업에 비해 정보가 매우 제한적이고, 취급 유해물질 중 알려지지 않은 물질이 다수라는 특성 등이 있어 산업보건 측면에서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 종사자의 건강 보호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조사가 필요함.
이번 RT에서는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의 유해인자 노출특성을 이해하고,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수행한 직업성질환 역학조사 사례를 공유하고자 함.
발표 좌장 : 이나루 실장(산업안전보건연구원)
1.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공정의 이해와 역학조사 현황(산업안전보건연구원 서회경)
2. 반도체 업종 생식보건 사례(산업안전보건연구원 최지형)
3. 웨이퍼 제조공정의 정비작업자 폐암 사례(산업안전보건연구원 이세건)
4. 디스플레이 제조공정 작업자의 급성골수성백혈병 사례(산업안전보건연구원 최영화)

구연발표

발표자료 제출일 2월 13일(목) 18시까지
제출 방법 이메일 제출
발표일 2월 20일 (목) 13:30 ~ 15:00
  • 구연발표는 10분 발표, 2-3분 질의응답이 진행됩니다.
  • 발표자는 사전에 일시, 장소, 순서를 숙지하시고 발표시간을 엄수하시기 바랍니다.
  • 각 발표자는 발표가 끝난 직후 수료증을 수령하게되며, 좌장과 기념촬영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발표번호 발표분야 장소 이름 소속 초록제목
OP1-1 T01-Original research 302 최윤희 원광대학교 안전보건학과 ePTFE 개인시료채취기를 이용한 소규모 세탁소 작업장에서 휘발성유기화합물 노출 평가
OP1-2 T01-Original research 302 신새미 고려대학교 보건과학연구소 한국 급성중독 위험 요인 분석을 위한 지역 단위 연구
OP1-3 T01-Original research 302 박제섭 국립소방연구원 소방대원 탈진 예방을 위한 체온 조절 방안 연구
OP1-4 T01-Original research 302 임호섭 (주) 스마티브 비대면 바이오모니터링 기술을 활용한 유해물질 노출평가의 고효율 솔루션 제안
OP1-5 T01-Original research 302 최소현 순천향대학교/산업보건연구실 자동차 부품 제조업에서 근로자의 보호구 착용이 가소제 노출에 미치는 효과
OP1-6 T01-Original research 302 성예지 가톨릭대학교 보건의료경영대학원 국내외 사격장 관리 규정 고찰
OP1-7 T01-Original research 302 최상준 가톨릭대학교 보건의료경영대학원 경찰관 직무-노출 매트릭스 구축을 위한 표준직무 코드 개발
OP2-1 T01-Original research 303 이철갑 조선대학교 직업환경의학과 BioM®을 이용한 유기용제 노출 생물학적 모니터링
OP2-2 T01-Original research 303 이지형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직업건강연구실 건강분야 위험성평가 현장적용 사례 수집 및 이해도 분석(체크리스트법 중심으로)
OP2-3 T01-Original research 303 Reni suhelmi 순천향대학교 환경보건학과 Urinary Heavy Metal Levels in Children Living Near Nickel Industries in Indonesia
OP2-4 T01-Original research 303 조용민 서경대학교 금속 노출로 인한 신장손상 영향의 복합 노출평가와 단계별 이행 경로
OP2-5 T01-Original research 303 이유진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조리직군에서의 저선량 흉부 CT를 활용한 폐암 건강검진 도입의 위험
OP2-6 T01-Original research 303 최준혁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방사선 안전 및 건강장해 예방 방안
OP2-7 T01-Original research 303 박미진 노동환경건강연구소/ 서울대학교 보건환경연구소 소규모 사업장 정부지원 사업 개선을 위한 혼합연구 : 정부지원 위탁사업에 참여한 민간산업보건 활동가의 경험을 중심으로
OP3-1 T02-Case report 304 서혜경 신한대학교 보건기술융합학과 마스크에서 방출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실시간 분석 사례
OP3-2 T02-Case report 304 오기택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바이오에너지 생산 공장에서의 직업적 건강 위해성 평가: 화학적 및 생물학적 유해인자를 중심으로
OP3-3 T02-Case report 304 옥진주 포스코 산업보건센터 직장 내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개인의 건강에 미치는 효과
OP3-4 T02-Case report 304 김재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안전공학과 어항관리선 작업자의 대기환경적 유해요인에 관한 작업환경측정 평가
OP3-5 T02-Case report 304 박해동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화학물질 운송작업자의 유해인자 노출에 대한 평가
OP3-6 T02-Case report 304 강태선 서울사이버대학교 사업장 화학물질 위험성평가 공론장, 사업장화학물질보건포럼 시범운영 사례
OP4-1 T02-Case report 305 김은영 근로복지공단 직업환경연구원 석탄화학 제조공정 내 일부 기계보수 직무에 따른 유해인자 노출평가
OP4-2 T02-Case report 305 김동원 근로복지공단 직업환경연구원 제재소 원목 절단 방식에 따라 발생하는 목분진의 입경 분포 파악 사례
OP4-3 T02-Case report 305 차원석 근로복지공단 직업환경연구원 인듐·주석 산화물 타겟을 이용한 금속 재생 작업자의 인듐 노출
OP4-4 T02-Case report 305 최성원 근로복지공단 직업환경연구원 노후주택 보수공사 작업자에게 발생하는 결정형유리규산 노출평가
OP4-5 T02-Case report 305 정승우 근로복지공단 직업환경연구원 스프레이 도장 작업자의 호흡성 분진 노출평가
OP4-6 T02-Case report 305 나수민 근로복지공단 직업환경연구원 아연도금 작업장에서 노출되는 유해요인 평가
OP4-7 T02-Case report 305 이선엽 근로복지공단 직업환경연구원 잉크제조 작업자의 유해인자 노출평가
OP5-1 T03-Student session 306 배회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안전공학과 어항관리선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한 작업자의 노출수준
OP5-2 T03-Student session 306 안하림 신한대학교 대학원 보건기술융합학과 Comparison of Total Airborne Bacterial and PM10 Concentrations based on Occupants
OP5-3 T03-Student session 306 장호영 신한대학교 대학원 보건기술융합학과 The Impact of Wearing a KF Mask on Breathing Patteren in Healthy Individuals with Moderate Walking
OP5-4 T03-Student session 306 김희주 신한대학교 대학원 보건기술융합학과 젊은 성인 흡연, 비흡연자 건강지표 및 정신상태 분석
OP5-5 T03-Student session 306 김경빈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산업보건연구소 직장폭력이 간호사의 수면장애에 미치는 영향: 폭력 가해자에 따른 분석
OP5-6 T03-Student session 306 오수민 가톨릭대학교 보건의료경영대학원 외근직 경찰공무원 직무별 유해인자 노출 평가
OP5-7 T03-Student session 306 이혜승 창원대학교 생명보건학부 조리 환경에서 발생하는 유해인자의 종류와 특성 ; 실험실 연구와 현장 연구를 중심으로
OP5-8 T03-Student session 306 심준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장애인과 노인의 전동보장구 운행중 사고예방과 피해최소화를 위한 기술-보험-규정의 통합적 해결 방안

포스터 발표

포스터 부착 기한 2월 19일(수) 13:00 ~ 2월 20일(목) 12:00까지
포스터 게시기간 2월 19일(수) 13:00 ~ 2월 20일(목) 18:00까지
*게시기간 이후 부착되어 있는 포스터는 구조물 철거로 인해 폐기처리 될 수 있으므로 기간 내 수거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포스터 구연 브리핑 발표시간 2월 20일(목) 17:00 ~ 17:30
포스터 게시 3층 로비, 포스터별 지정된 곳에 부착
발표장소 3층 로비 (각 포스터 게시 지정 장소)
  • 발표자는 사전에 일시, 장소, 순서를 숙지하시고 발표시간을 엄수하시기 바랍니다.
  • 포스터는 발표자 본인이 출력하여 직접 게시(유첨 파일 양식 활용: 사이즈 80*150이며, 부착용 테이프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 포스터 발표는 2월 20일(목), 17:00 ~ 17:30에 게시된 장소에서 좌장의 안내에 따라 각자 2분 발표 및 질의응답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 발표자는 17:00 ~ 17:30까지 본인 포스터 앞에 대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포스터세션 일반참가자 평가종료는 2월 20일 18:00 입니다.
발표번호 발표분야 장소 이름 소속 초록제목
PP1-1 T11-작업환경측정/기기분석, 노출평가/생물학적모니터링 3층로비 조명화 산업환경보건연구소(주) 국내 유통 활성탄 제품의 유기용제 탈착율 평가
PP1-2 T11-작업환경측정/기기분석, 노출평가/생물학적모니터링 3층로비 김예진 한성대학교 대학원 자동차부품 제조업의 공정별 소음 분석 및 보건관리
PP1-3 T11-작업환경측정/기기분석, 노출평가/생물학적모니터링 3층로비 김성호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Can Average Noise Levels Explain Firefighters' Hearing Loss?
PP1-4 T11-작업환경측정/기기분석, 노출평가/생물학적모니터링 3층로비 서수지 고려대학교 한국의 조선업 도장공정에 사용되는 일부 유기용제에 대한 근로자들의 건강 위험성 평가
PP1-5 T11-작업환경측정/기기분석, 노출평가/생물학적모니터링 3층로비 박현희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작업환경측정 DB를 통한 건설업 직종 및 세세업종별 소음 노출 수준
PP1-6 T11-작업환경측정/기기분석, 노출평가/생물학적모니터링 3층로비 임선경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직서열 하역장 유해인자 노출수준 평가
PP1-7 T11-작업환경측정/기기분석, 노출평가/생물학적모니터링 3층로비 임선경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정전기 방지를 위한 공업용 가습기 위험성 평가
PP2-1 T11-작업환경측정/기기분석, 노출평가/생물학적모니터링 3층로비 조현빈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소비자 스프레이 제품의 용도별 입자 크기 분포 및 농도 특성 분석
PP2-2 T11-작업환경측정/기기분석, 노출평가/생물학적모니터링 3층로비 김동현 서울대학교 / 삼성전자 플라스틱 단추 공정의 유해물질 전이 및 건강 위해성 평가: 공기-토양 전이계수와 생체이용률을 활용한 접근
PP2-3 T11-작업환경측정/기기분석, 노출평가/생물학적모니터링 3층로비 유동현 근로복지공단 직업환경연구원 초경합금 제작 공정에서 프레스 작업자의 금속 분진 노출수준 평가
PP2-4 T11-작업환경측정/기기분석, 노출평가/생물학적모니터링 3층로비 하권철 창원대학교 조리환경 개선에 따른 학교 급식 조리 종사자의 포름알데히드 노출 특성
PP2-5 T11-작업환경측정/기기분석, 노출평가/생물학적모니터링 3층로비 조지훈 안전보건공단 트리클로로에틸렌 사용공정의 노출특성 분석
PP2-6 T11-작업환경측정/기기분석, 노출평가/생물학적모니터링 3층로비 심상효 한양여자대학교 도급업 근로자의 피부 노출에 따른 위험성 평가 연구
PP2-7 T11-작업환경측정/기기분석, 노출평가/생물학적모니터링 3층로비 최우철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라돈 침대 매립처분 작업자의 방사선학적 영향 평가
PP3-1 T11-작업환경측정/기기분석, 노출평가/생물학적모니터링 3층로비 김승원 계명대학교 직업적 화학물질 노출을 예측하는 피부 노출 모델에 대한 비교 고찰
PP3-2 T11-작업환경측정/기기분석, 노출평가/생물학적모니터링 3층로비 변혜영 울산대학교 안전보건전문학과 크실렌의 제조량과 작업환경측정결과 분석
PP3-3 T12-정책/법령/보건관리 및 건강증진 3층로비 이철갑 조선대학교 직업환경의학과 실내 실탄사격장 노동자 납 노출 관리 방향
PP3-4 T12-정책/법령/보건관리 및 건강증진 3층로비 Songee Ju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 and Public Health, Akita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Medicine Checklist Validation study for Health Promotion among Working Women: an Internet Survey on 1700 business owners or executives
PP3-5 T12-정책/법령/보건관리 및 건강증진 3층로비 Kyoko Nomura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 and Public Health, Akita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Medicine Checklist Validation study for Health Promotion among Working Women: an Internet Survey on 3,343 female workers
PP3-6 T12-정책/법령/보건관리 및 건강증진 3층로비 정나린 인하대학교 화학물질 제조수입 사업장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이행실태 관리개선
PP3-7 T12-정책/법령/보건관리 및 건강증진 3층로비 박이현 인하대학교 의료폐기물 처리 실태 및 자체 멸균시설 처리용량 규제개선에 관한 연구
PP4-1 T12-정책/법령/보건관리 및 건강증진 3층로비 장이랑, 남재욱 인하대학교 「심리케어 프로그램」 도입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 평가」 결과 분석 : 발전현장 중심으로
PP4-2 T12-정책/법령/보건관리 및 건강증진 3층로비 송지민 삼성전자 BMI 감량 개선을 위한 직장인 통합형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PP4-3 T12-정책/법령/보건관리 및 건강증진 3층로비 정미란 경성대학교 스마트바이오학과 화학물질 공급망 내 REACH 허가제도의 집행 효과성 분석
PP4-4 T12-정책/법령/보건관리 및 건강증진 3층로비 정수진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황산을 포함한 강무기산 미스트의 발암성 : 규제 개선을 위한 고찰
PP4-5 T12-정책/법령/보건관리 및 건강증진 3층로비 전혜진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물반응성 물질에 대한 안전보건공단 물질안전보건자료 개정에 필요한 자료 조사 연구(5항 폭발화재시 대처방법 중심으로)
PP4-6 T12-정책/법령/보건관리 및 건강증진 3층로비 권수현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조리흄의 노출수준 관리방안에 대한 고찰
PP4-7 T12-정책/법령/보건관리 및 건강증진 3층로비 남은지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산업화학연구실 MSDS평가부 제조·수입량 1톤 미만 신규화학물질의 유해성·위험성 조사 제도 고찰
PP5-1 T12-정책/법령/보건관리 및 건강증진 3층로비 정현진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화학물질정보 API 활용 현황 분석 및 향후 발전 방향 고찰
PP5-2 T12-정책/법령/보건관리 및 건강증진 3층로비 양진우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24년 MSDS 시스템 주요 개선사항 안내 및 향후 기대효과 분석
PP5-3 T12-정책/법령/보건관리 및 건강증진 3층로비 구영회 경성대학교 대학원 REACH 등록자료를 활용한 독성 항목간 상관성 분석
PP5-4 T12-정책/법령/보건관리 및 건강증진 3층로비 유병욱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석유계신규화학물질의 유해성 조사시 GHS 유해성 판단에 대한 고찰-LOA 카테고리 사례적용중심으로-
PP5-5 T12-정책/법령/보건관리 및 건강증진 3층로비 김선주 서울연구원 지속가능연구실 서울시 민원 처리 담당자 보호를 위한 전자민원체계 및 법제도 분석
PP5-6 T13-역학/직업병/산업독성 3층로비 임경택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Review of the microRNA Regulation of Chemical Toxicity
PP5-7 T13-역학/직업병/산업독성 3층로비 정재혁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직업환경의학교실 국내 근로자에서 반복적인 실업 경험과 심혈관 질환 사망률과의 관계
PP6-1 T13-역학/직업병/산업독성 3층로비 전교연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한국 항공운수업 근로자의 만성신장병 발생 위험
PP6-2 T13-역학/직업병/산업독성 3층로비 이유림 근로복지공단 직업환경연구원 직업성 과민성폐렴의 업무관련성 사례의 특성
PP6-3 T14-환경보건 및 근골/인간공학 3층로비 이명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소화기 종류에 따른 공기중 입자 및 PFAS 발생량 측정
PP6-4 T14-환경보건 및 근골/인간공학 3층로비 양진호 세명대학교 향초 사용에 따른 사무실 내 실내공기질 변화
PP6-5 T14-환경보건 및 근골/인간공학 3층로비 이윤지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환경보건학과 비스페놀 A, 디에틸헥실 프탈레이트 노출과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연관성 확인 및 제브라피쉬를 활용한 비침습적 생체지표 제안
PP6-6 T14-환경보건 및 근골/인간공학 3층로비 이아람 순천향대학교 환경보건학과 폐경 전 여성의 혈중 중금속 농도와 여성 질환의 연관성
PP6-7 T14-환경보건 및 근골/인간공학 3층로비 김민정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일상에서 사용하는 세정제의 휘발성유기화합물 성분 평가
PP6-8 T15-작업환경관리(환기, 보호구 등) 3층로비 최수연 직업환경연구원 합성피혁 코팅 공정에서 유기용제 노출 환경 개선 사례
PP7-1 T16-Student 3층로비 최성일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스프레이 제품 동시 사용이 공기 중 유해물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PP7-2 T16-Student 3층로비 박희주 연세대학교 보건학과 Association Between Reemployment and the Risk of Early-Onset Dementia: A Cohort Study of Middle-Aged Workers in South Korea
PP7-3 T16-Student 3층로비 박형주 충남대학교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소셜미디어 게시물의 SSRI 계열 항우울제 분석
PP7-4 T16-Student 3층로비 손민경 서울대학교 한국형 3D 폐모형을 사용한 SiO2와 ZnO 폐 부위별 침착량 평가
PP7-5 T16-Student 3층로비 김민철 서울대학교 조리 작업 시 조리 특성(재료, 식용유, 조리온도 등)에 따른 유해인자 발생 평가
PP7-6 T16-Student 3층로비 이지안 연세대학교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이 한국 산업 현장에서 미치는 건강 영향
PP8-1 T16-Student 3층로비 염승혁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COVID-19 기간에 따른 고객응대 근로자의 정신적 폭력 피해 경험과 불안감 간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PP8-2 T16-Student 3층로비 임채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산업보건연구소 의료기관 내 핸드드라이어 사용에 따른 공기 중 미생물 농도 및 표면 오염 평가
PP8-3 T16-Student 3층로비 심준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장애인 노동자의 장애 유형 및 작업장별 산재 유형과 대책
PP8-4 T16-Student 3층로비 김승현 용인대학교 산업환경보건학과 Tonalide와 musk ketone이 성장호르몬 및 인슐린유사성장인자 축 및 발달독성에 미치는 영향
PP8-5 T16-Student 3층로비 방소현 순천향대학교 환경보건학과 자동차 부품 제조업에서 작업환경과 근로자 체내 가소제 노출 간의 연관성 평가
PP8-6 T16-Student 3층로비 김애진 용인대학교 3가지 과불화화합물 PFOS, PFOA, PFDA의 생애주기별 통합노출평가

하이라이트 세션

개요 라운드테이블 요약 발표
시간 및 장소 2월 21일(금) 10:00-11:30 / 컨벤션홀3
NO. RT 주제 개설기관
1 산업보건 현장 AI 및 스마트 기술 적용 사례 포스코 / 한국산업보건학회
2 직업병 안심센터 현장 조사 사례와 직업성 중독의 이해 직업병안심센터
3 이차전지 산업에서의 산업보건 산업안전보건연구원
4 작업환경측정 표준품셈, (산업통상자원부) 표준품셈 공표 직업환경측정기관협의회
5 급성중독사고 발생 사업장에 대한 작업환경 기술적 평가 사례 산업안전보건연구원 / 중앙사고조사단
6 직업트라우마센터와 심리적 외상 예방 경기 직업트라우마센터
7 소방관의 소음노출과 청력건강 보호방안 국립소방연구원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8 조선업의 이해와 역학조사 사례 직업환경연구원
9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의 직업성질환 역학조사 현황 및 사례 산업안전보건연구원
Top